이제는 상생相生으로 나아가자
상태바
이제는 상생相生으로 나아가자
줌인 40년 역사의 국내 프랜차이즈 - 가맹본부 수 4268개, 그러나 평균 사업 기간은 5년 미만
  • 주간기쁜소식
  • 승인 2017.08.11 20: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근 강훈 전 KH컴퍼니 대표의 자살 사건 이후 국내 프랜차이즈 업계가 화제에 올랐다. 무분별한 사업 확장과 가맹 본부의 갑질 논란 그리고 오너의 도덕적 해이 등 국내 프랜차이즈 업계의 명과 암을 알아보았다. 

양적 성장에 치중해 온 우리나라 프랜차이즈 업계

얼마 전 ‘더 큰 세상을 향한 도전에 포기란 없다’고 외치던 커피왕 강훈 씨의 죽음이 국민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 강훈 대표는 ‘할리스 커피’와 ‘카페베네’를 연이어 성공시키며 국내 프랜차이즈 업계의 신화로 불리던 인물이다. 그러나 최근 경영 중인 업체가 무리한 사업 확장과 매출 부진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리고 얼마 후 그는 자살(경찰 추정)이라는 비극적인 선택으로 생을 마감했다. 
그의 안타까운 죽음을 그저 개인의 불행으로 볼 것이 아니라 최근 갑질 논란, 무분별한 사업 확장 등으로 눈총을 받는 국내 프랜차이즈 업계의 문제로 봐야 한다는 여론이 커지고 있다. 심지어 관련 업계에서도 ‘그동안 양적 성장에 몰두한 나머지 질적 발전을 등한시했다’는 자성의 목소리도 터져 나오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2016년 기준 국내 프랜차이즈 가맹본부 수는 4268개나 되며, 가맹점 수는 약 22만 개에 달한다. 가맹본부 수만 놓고 보면 2008년 대비 400% 이상 증가한 수치다. 하지만 이런 양적 성장과는 달리 가맹본부와 가맹점의 평균 사업 기간은 5년도 채 되지 않는다는 통계도 나와 국내 프랜차이즈 업계의 질적인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가맹본부의 수익구조, 로열티 중심으로 개편돼야”

전문가들은 앞으로 국내 프랜차이즈 업계가 질적으로 성장하려면 지난 40년 동안 누적되어 온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말한다. 국내 프랜차이즈 산업의 역사를 살펴보면 1977년 ‘림스치킨’이 국내 최초로 가맹사업을 시작하였고 1979년 서울 소공동에 ‘롯데리아’ 국내 1호점이 개점하면서 본격적으로 꽃을 피우기 시작했다. 이후 빠르게 성장을 거듭했지만 정착하는 과정에서 여러 문제점도 생겨났다. 대표적으로 ▲가맹점 개설 비용과 물류 공급 마진 중심의 가맹본부의 수익구조 ▲성공한 직영점 없이 가맹점을 모집하는 ‘먹튀 업체’의 난립 ▲인기 있는 업체를 그대로 모방한 이른바 ‘미투 브랜드’ 등이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가맹본부의 수익구조를 가맹점에게 브랜드와 운영방식을 제공한 대가로 일정 수익을 받는 ‘로열티’ 중심으로 바꿔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박기영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 회장은 “미국이나 일본의 프랜차이즈 업계는 ‘로열티 제도’가 보편적이어서 수익구조가 투명하다. 국내 업계 역시 로열티 중심으로 바꾸는 게 맞는 방향이다”라고 말했다. 또 이탈리아나 중국처럼 직영점을 1년 이상 운영한 업체에게만 가맹점 모집 권한을 주는 ‘가맹사업 인증제도’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계속되고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 가맹본부와 가맹점이 공동운명체라는 인식을 공유하며 상생하는 문화를 정착시키는 것이 가장 시급해 보인다.

일자리 창출, 안정적인 창업 지원 등 순기능도 많아

한편, 운영상의 문제와 잘못된 관행으로 국내 프랜차이즈 업계가 손가락질 받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로 인해 프랜차이즈 산업 자체를 색안경을 끼고 보지 말아 달라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부탁이다.
오늘날 프랜차이즈 산업은 65만 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고, 신규 창업자들에게 비교적 안정적인 창업 기회를 제공하는 등 우리 경제에 기여하는 부분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페리카나, 이디야 커피, 크린토피아 등 다년간 가맹본부와 가맹점이 서로 상생하며 탄탄히 성장해 오고 있는 업체도 많다.
어쩌면 최근 프랜차이즈 업계의 잘못된 관행이 수면 위로 떠오른 것이 기뻐할 일인지도 모른다. 상처가 드러나고 원인을 발견했으니 이제 치료할 일만 남았다는 분석이다. 국내 프랜차이즈 업계가 그동안의 실수를 반면교사 삼아 한 단계 성숙해지길 대다수의 국민은 기대하고 있다.
강민수 기자 mskang@igoodnews.or.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