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추모공원 개원 2주년을 맞다
상태바
서울추모공원 개원 2주년을 맞다
기획 서울추모공원
  • 주간기쁜소식
  • 승인 2014.01.18 17: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 경부고속도로 양재인터체인지를 나와 서울양곡도매시장 쪽으로 직진하면 서울추모공원 전용터널 입구가 나타난다. 깔끔하게 포장된 도로를 따라 700m 쯤 가면 아름다운 건물, 마치 미술관 같은 건물이 숲속에 자리 잡고 있다. 진정 이곳이 화장장이란 말인가. 이 자연친화적인 서울추모공원이 1월 16일 개원 2주년을 맞이하였다.

서울시 화장 처리용량은 포화상태
 
서울시는 화장수요가 급속하게 늘고 있는데 반해 기존 화장장의 처리용량이 포화상태에 이르면서 도심에 추모공원 조성을 계획하게 되었고 서초구 원지동이 부지로 확정되었다. 그러나 주민들의 반대와 토지보상문제 등 분쟁이 끊이지 않았다. 서울시와 주민들의 약 430회에 걸친 협의를 통해 2011년 12월, 14년 만에 경부고속도로와 우면산을 사이에 둔 서초구 원지동 68번지에 서울추모공원을 마무리하게 되었다. 연면적 1만 8천㎡ 규모로 하루에 최대 65차례 화장이 가능하고 민원을 고려해 화장시설은 지하화 했으며 지상에는 나무숲을 조성해 시민공원을 만들었다. 
 

화장시설 최초 ‘문화서비스’로 혐오 이미지 없애
 
1월 16일로 개원 2주년을 맞게 된 서울추모공원은 혐오시설이라는 인식을 탈피하기 위해 무공해?친환경적인 설비와 에너지재생산시스템, 그리고 박물관에 버금가는 건축 및 인테리어로 조성되어 있다. 서울추모공원의 류성진 부장은 “고인만을 위한 공간이라는 화장시설의 고정 이미지를 벗도록 시설의 외관은 물론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문화 공간을 형성했다”고 말했다. 또한 서울추모공원의 국내 최초로 화장시설을 이용한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 ‘아름다운 여행’은 대표적인 죽음 관련 시설에서 ‘삶’을 제시하는 역설적인 프로그램으로 초·중·고 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한다고 한다.
또한 공원 내 매점과 식당 운영은 새원마을협의회에서 공동운영하고 있는데 허명철 마을주민대표는 “서울추모공원이 지역 명소가 되면서 새원마을협의회(주민들)도 보다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다”며 서울시의 보다 세심한 배려와 지원을 통해 계속적인 지역발전이 이뤄지기를 희망한다고 했다.
 
님비(NIMBY)현상 남의 일이 아니다
 
현재 대한민국은 지방자치제가 발달하면서 님비현상이 더욱 심해지고 있다. ‘님비’(NIMBY)는 ‘내 뒷마당에서는 안 된다(Not In My Back Yard)’는 영어의 약자로 위험시설, 혐오시설 등이 자신들이 살고 있는 지역에 들어서는 것을 강력하게 반대하는 현상 말한다. 반대로 ‘핌피’(PIMFY)는 ‘Please In My Front Yard’ 의 약어로 수익성 있는 사업을 내 지방에 유치하겠다는 지역민 유치희망 현상의 일종이다. 
전문가들은 님비현상의 주요 원인으로 △정치와 행정에 대한 불신 △상호 의사전달 체계의 부족 △주민의 지나친 이기심 등을 들고 있다. 그러나 근본적인 이유는 대부분 자신들이 살고 있는 지역의 땅값이나 아파트 값이 떨어지는 것을 우려하거나 환경이 나빠질 것이라는 판단에서 비롯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인천 영종도의 법무부 난민센터는 완공하고도 주민들의 시위로 문을 열지 못하고 있고, 8년째 갈등인 밀양의 송전탑 문제 등 현재 정부가 파악하고 있는 공공시설 갈등만 60여 건에 달하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이와 반대로 지역 내 갈등을 극복하고 님비시설을 핌피시설로 바꾼 예도 있다. ▲경기도 구리시의 주민 친화적 소각장은 선정 때부터 4차례에 걸쳐 주민 의견을 수렴해 시민을 위한 사우나 시설을 겸한 수영장, 인조축구장 등 다양한 편익시설과 소각장 굴뚝을 이용한 전망대 설치로 주민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경주의 방사성폐기물처리장(방폐장)은 정부에서 방폐장이 안전하다는 것을 알리는 노력과 함께 방폐장이 수용 지역에 여러 가지 경제적 지원 정책을 발표하면서 지역자치단체의 신청을 받은 결과 주민 투표를 통해 경주가 최종 선정되었다. 
이처럼 서울추모공원은 건립계획 14년 만에 정부와 지자체 및 주민 간의 갈등이 끊임없는 대화와 타협, 공동체 간의 이해의 과정을 거쳐 해결된 대표적 사례다. 앞으로 정부나 지자체, 각 기관들은 민감한(?) 시설 건립 시 해당 주민들에게 충분한 설명을 통해 반드시 있어야 될 시설임을 주지시켜야 한다. 또한 주민들에게도 충분한 이익이 돌아가는 윈-윈 사업임을 인식시켜 더 이상 밀양송전탑 사태와 같은 국가적 손실과 사회 갈등을 유발시키지 않도록 세심한 연구와 준비가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배지원 기자 jiwonbae@igoodnews.or.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