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민의 안정적 정착 위해 필요한 것은 
상태바
탈북민의 안정적 정착 위해 필요한 것은 
기획 국내에 탈북민 3만 1천여명 거주 양질의 일자리 및 자립환경 조성 절실
  • 주간기쁜소식
  • 승인 2024.02.03 06: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남북하나재단 일자리지원부 김성모(55) 부장 사진/ 홍용학 기자

요즘 인구부족이 심각한 우리나라에 자유를 위해 생명의 위협을 무릅쓰고 찾아온 탈북민들에 대한 시각이 달라지고 있는 가운데 이들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탈북민들 고용률에 비해 임금수준 낮아

지난해 국내에 입국한 탈북민은 남성 32명, 여성 164명으로 총 196명이었다. 이로써 국내 거주 탈북민은 어느덧 3만 1000여명이 되었다. 생명의 위협을 무릅쓰고 자유와 인권을 찾아 넘어온 탈북민들은 남다른 도전 정신과 삶에 대한 절실함으로 취업 및 생업활동을 전개한다. 그런 가운데 이들의 남한생활 만족도와 경제활동 지표가 역대 최고치라는 희소식이 들린다.  
남북하나재단의 탈북민 실태조사에 따르면 경제활동 참가율은 63%, 고용률은 60.5%로 나타났다. 실업률은 4.1%대로 떨어졌다. 반면 임금수준과 근속기간은 여전히 일반국민과 큰 격차를 보였다. 남북하나재단 일자리지원부 김성모(55) 부장은 “탈북민의 직업유형이 서비스업과 단순노무직이 많다. 또한 탈북민 중 여성 비율이 72%로 현저히 높다보니 성별 임금 격차 영향도 커서 월평균임금은 245.7만원, 근속기간은 36.3개월”이라고 전했다. 
그럼에도 탈북민의 남한생활의 만족도는 79%에 달했다. 특히 고소득의 전문직일수록 만족도가 높다. 김 부장은 “개개인의 역량을 발굴하여 지난해엔 의료인, 변호사 등 56명의 전문직 진출을 지원했다”며 “자영업자도 증가해 3천여명이 창업했고 재단이 지원한 300여명의 영농종사자는 100%에 가까운 정착률을 보였다”고 덧붙였다. 

탈북유형, 난민형에서 이주형으로 변화

(상)출처/ MBC 뉴스 캡처
(하) 일반국민 대비 탈북민 고용률

최근엔 엘리트 계층과 MZ세대 탈북이 증가해 눈길을 끈다. 코로나 상황이 해제되면서 외국에서 장기체류하던 외교관과 주재원, 유학생들의 귀국이 본격화 되었고 지난해 2030세대 입국자 수는 99명으로 절반을 넘었다. 이들은 대부분 제3국에서 장기간 체류하며 자본주의 체제를 경험하고 입국한다. 위와 같은 복합적인 배경은 탈북유형을 난민형에서 이주형으로 변화시켰다. 
김성모 부장은 “과거에는 식량이 부족해서 탈북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최근엔 식량 부족(21.4%)보다 북한체제가 싫어서(22.6%)라는 답변이 우세하다. 이외에도 가족들의 보다 나은 삶을 위해, 돈을 벌기 위해, 헤어진 가족을 만나기 위해 등 탈북 동기가 다양화되고 있다”며 “탈북민이 해외로 이주 하는 원인이 남북간 사회·경제·문화적 차이와 국민들의 편견, 부적응도 있지만 더 나은 삶과 자식을 위해 떠나는 우리 국민들의 정서와 크게 다르지 않다”고 설명했다.
한편, 우리사회에 성공적으로 정착하여 경제적·사회적 기여자로 활동하는 사례도 많다. 지난 2009년 딸과 함께 중국, 베트남, 캄보디아를 거쳐 입국한 김성희씨는 충북 음성에 북한 전통주 제조업체인 ‘하나도가’를 설립한 사업가다. 그는 연말에는 김장을 해 마을 어르신과 지역장애인, 보육원에 북한김치를 전달하고 주말엔 딸과 함께 봉사하며 이웃과 신뢰를 쌓아간다. 김 부장은 “안정적으로 정착한 탈북민의 특징을 살펴보면 뚜렷한 목표 의식과 동기, 유연한 태도로 자신의 경험과 적성을 고려해 직업을 선택하고 충분한 준비기간을 거친다”고 밝혔다.

두 체제 경험한 국가자산, 관심과 지원 필요 

현재 남북하나재단은 ▲고용안정성이 높은 공공기관, 대기업, 중견기업 등을 중심으로 채용 확산 운동을 펼치고 ▲탈북민의 여건과 특성을 고려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을 확대하여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함으로써 자립환경을 조성, 안정적인 정착을 유도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1기업 1명 이상 탈북민 채용’이라는 1사1인 캠페인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 12월엔 코엑스에서 대규모 탈북민 취업박람회를 개최했다. 
사실상 탈북민의 재북 당시 직업 경력과 능력을 우리사회에서 활용하기에는 극히 제한적이다. 그래서 김성모 부장은 출발선이 다른 이들에 대해 지원과 보호체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그는 또한 “대부분의 탈북민은 북한정권의 핍박과 인권 침해를 견디지 못해 넘어왔다. 그러므로 북한정권과 탈북민을 동일시하여 적대시하는 일이 없어야 한다. 무엇보다도 탈북민들은 두 체제를 모두 경험한 국가적 자산이므로 통일 이후 북한 재건과 사회통합을 위해 매우 중요한 자원이 될 수 있다”며 “서로의 차이를 틀림이 아닌 다름으로 바라보고 우리가 먼저 그들을 따뜻하게 품어주는 사회분위기가 확산되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송미아 차장대우 miasong@igoodnews.or.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