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코 황무지가 아니다
상태바
결코 황무지가 아니다
  • 주간기쁜소식
  • 승인 2022.05.14 01: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필자가 1984년도 음대 국악과에 입학할 당시에는 국악을 한다고 무시를 많이 받았다. 서양 음악을 하는 사람들이 국악은 음정이 맞지 않는 연주 소리가 난다고 하거나 옛날에 니나노 하며 기생들이 하는 음악이라고 표현하는 등 국악 자체를 무시하는 것을 느꼈다. 우리를 가르치던 교수님은 “지금 보기엔 이 길이 황무지 같지만 절대로 그렇지 않다”며 독려하고 소망의 말씀을 자주 해주셨다. 
국악기는 음정 잡기가 서양악기에 비해 까다롭다. 예를들어 플룻은 음정이 잘 맞게 되어 있지만 대금은 그에 비해 완전하지 못하다. 국악기의 조율은 개인의 음감이 이루어져야만 제대로 소리를 낼 수 있기 때문이다. 오랜 기간 음악을 해오며 이제는 표현을 안해도 저 사람이 음을 알고 연주하는 것을 알기에 서로 무시하지 않고 존중하는 관계가 되었다. 
최근 국악이 대중의 사랑을 받으면서 교수님 말씀대로 국악을 하며 보람을 느낀다. 이제는 나보다 잘하는 사람을 볼 때 ‘저 사람도 내가 준비한 시간만큼 열심히 노력했겠구나’라는 생각이 든다. 각자 잘하는 것이 있는 반면 부족한 것도 많기 때문에 남들의 길도 대단하다고 느껴진다. 누구나 자신이 처음 걷는 길은 황무지 같을지 모르지만 꾸준히 한 걸음 한 걸음 걷다 뒤돌아보면 그 길은 결코 황무지가 아닌 아름다운 길임을 발견하게 된다.
박덕귀 단원/ 전북도립국악원 관현악단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