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동계올림픽 1년, 알파인경기장의 존치 운명은?
상태바
평창동계올림픽 1년, 알파인경기장의 존치 운명은?
핫이슈 정선 알파인스키경기장 복원 문제로 산림청·강원도 간 첨예한 갈등
  • 주간기쁜소식
  • 승인 2019.01.25 14: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18 평창동계올림픽이 폐막한 지 어느덧 1년이 다 되어 간다. 하지만 최근 평창올림픽 알파인경기장으로 사용됐던 강원도 정선 가리왕산의 복원을 놓고 정부 및 지자체와 지역 주민 간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가리왕산 올림픽 스키장 사용 허가 만료, 복원 갈등 심화 

정선군 북평면 숙암리 가리왕산 기슭에 조성된 183만㎡ 규모의 정선 알파인경기장. 2018 평창동계올림픽 성공 개최의 큰 축을 담당했던 이곳이 사라질 위기에 놓였다. 
알파인스키 강국 노르웨이와 스위스, 독일 등 유럽을 비롯해 전 세계 각지에서 온 선수 및 관객들이 세계 최고 수준의 경기장이라며 찬사를 보냈던 곳이지만 최근 전면 복원과 일부 존치를 둘러싸고 강원도와 산림청, 환경단체 등이 갈등을 빚고 있다. 올림픽을 앞두고 당시 스키와 관련된 국제협회는 설치지형 조건이 매우 까다로운 알파인경기장을 건설할만한 곳은 가리왕산 지구가 가장 타당하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하지만 환경단체들은 가리왕산이 원시림 및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에 포함되는 등 환경 훼손을 이유로 강하게 반발했다. 이 과정에서 산림청은 전면복원을 조건으로 정선군 가리왕산 일대 국유림을 2018년까지 강원도에 무상 임대했다. 그리고 지난 12월 31일 사용허가 기간이 만료되면서 산림청은 강원도에 복원 명령을 통보했다. 
이에 강원도와 정선군 등은 올림픽 유산인 스키장 시설 일부를 유지해 관광자원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알파인 경기장을 철거 및 복원하는 데에만 2000억 원 이상의 예산이 필요한 만큼 효율적인 방안을 찾고자 전면 복원에 반대하는 입장이다.

일부시설, 유산 보전 및 관광산업 활용 의견 상당

정선 알파인스키경기장에 대한 생태복원과 올림픽 유산 보존 등 사후 활용방안에 대한 의견이 분분한 가운데 정선군민들은 알파인경기장 원상복원반대 투쟁위원회를 결성했다. 지난주 기자는 알파인경기장 존치를 요구하는 정선군번영연합회 사무실을 찾았다. 정선군번영연합회장인 박승기(67) 공동투쟁위원장은 “가리왕산에 경기장이 조성될 때부터 복구계획과 현재의 일방적 복원 요구까지 이 모든 과정에 정선 지역주민의 의견은 철저하게 무시됐다”라며 “정선군민들은 알파인경기장의 복원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곤돌라와 관리도로만이라도 남겨 올림픽 유산으로 후세에 전하고 지역과 자연이 상생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인데 정부가 이것마저 외면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승준(63) 정선군수도 이번 복원 명령에 대하여 “알파인센터 합리적 존치는 9개 읍면과 각 급 단체 등의 일치된 요구로 지역 이기주의가 아닌 만큼 올림픽 성공개최 주인공인 경기장의 합리적 존치는 당연한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산림청은 가리왕산이 역사적·생태적 가치가 높은 지역으로 평가받아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곳인 만큼 복원을 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환경단체 또한 경기장 건립으로 산사태 위험이 높기 때문에 원상태로 복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릴레함메르市 올림픽 후 성공적 관리의 모범 사례

올림픽을 성공적으로 개최하기 위해 노력한 것은 단지 일회성 이벤트가 아닌, 우리나라가 스포츠 분야에서 지속 가능한 성장 동력을 얻기 위한 목적도 있다. 1994년 노르웨이에서 열린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은 이러한 면에서 성공적인 올림픽으로 손꼽히고 있다. 무엇보다 있는 그대로의 것을 훼손시키지 않으면서 자연스럽게 경기장 및 시설 등을 만든 친환경적 안목이 성공 요인 가운데 하나인 것으로 평가된다. 대표적으로 산림을 보호하기 위해 산속을 파낸 후 지은 아이스하키장은 자연파괴를 최소화하며 올림픽 이후에도 관광객들이 꾸준히 찾는 관광명소가 되었다. 
또한 올림픽 시설을 재활용해 많은 국제 스포츠이벤트 및 회의 등을 개최함으로써 지역 경제의 중요한 수입원으로 자리매김했다. 이 과정에서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올림픽조직위원회 등이 협력적 관계를 구축했다는 것이 가장 눈에 띄는 점이다. 중앙정부와 의회가 앞장서서 지자체를 성공적으로 유도했고 릴레함메르를 비롯해 올림픽 개최 도시들의 시 당국과 시민들은 적극적으로 협조했다.
현재 정선 알파인스키장 복원을 두고 정부 및 지자체가 첨예하게 갈등하고 있는 모습 속에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의 성공적 사후 관리사례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전문가들은 이 문제가 다소 시간이 걸리더라도 소통과 합당한 절차를 거쳐 사회적 합의를 끌어낸 뒤 추진하는 것이 오히려 갈등과 비용을 줄이는 일이라고 강조한다.
김인나 기자 innakim@igoodnews.or.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