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소멸 위기 시대, 그 해결책을 모색한다
상태바
지방 소멸 위기 시대, 그 해결책을 모색한다
기획 [기획특집] 시민이 행복한 도시를 위한 ‘Good City Forum 2018’ 서울 힐튼호텔에서 10월 23일 열려
  • 주간기쁜소식
  • 승인 2018.10.28 18: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치, 경제, 문화 모든 국가역량이 집중되어 있는 인구 2550만 명의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반면 지방은 저출산, 고령화, 저성장으로 소멸위기에 처해있다. 이에 위축되어가는 한국의 지방을 살리고자 각계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대한민국 최고 도시재생 전문가들 함께 모여

“도시는 인간의 가치와 이념, 철학이 반영되는 생명체요 유기체다.” (한국도시행정학회장 김상봉)지방 소멸의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대한민국 최고의 도시재생 전문가들이 모였다.
한국도시행정학회와 시사저널은 지난 10월 23일 서울힐튼호텔 그랜드볼룸에서 ‘굿시티 포럼 2018(Good City Forum 2018)’을 공동 개최했다. 올해는 그 첫걸음으로 ‘위기의 지방, 되살릴 수 있나’를 주제로 1세션에서는 ‘지방소멸 위기, 어떻게 대응하나’, 2, 3세션에서는 각각 ‘도시재생, 어떻게 시작할까’와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한 종합토론’이 이어졌다. 
권대우 시사저널 사장은 환영사에서 “내가 올해 68살인데 청년회 모임에 나오라는 연락이 왔다. 얼마 전에 청년회 자격을 65세에서 70세로 늘렸다는 것이다. 어떻게 하면 지방에 산업과 기업이 살아 숨 쉬고 젊은이가 몰리는 사람중심 도시가 될 수 있을지 이곳에서 제기되는 의견들이 서울과 지방의 성장 모멘텀이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모든 지방 살려야 VS 선택해서 살려야...다양한 견해
 
행사장을 가득 메운 참석자의 자못 비장한 모습에서 도시재생이 얼마나 중요한 사안인지 감지할 수 있었다.
‘위기의 지방, 뭉쳐야 산다’는 주제로 강연한 <지방도시 살생부> 저자 마강래 중앙대 교수는 “힘을 쏟을 대상을 구체화하여 농어촌 중소도시 뭉치기와 지방 대도시권화로 경쟁, 협력, 상생을 통해 자본의 공유가 이루어져야 한다”며 혁신성장을 위한 압축도시를 제안했다. 
<도시의 발견> 저자 정석 서울시립대 교수는 ‘내 몸 재생에서 국토재생까지’라는 주제로 강연했다. 위궤양과 우울증에서 벗어난 자신의 경험에 빗대어 국토재생을 설명한 정 교수는 “수도권과 지방을 한 몸으로 본다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를 알 수 있다. 팔, 다리 잘라내고 머리나 심장만 남아 잘 살 수 있겠는가?”라고 질문했다. 그는 수도권과 지방의 신도시 개발을 멈춘 후 △지방 일자리 창출로 자발적 하방(下方)을 이끌어내고 △지방 소멸의 결정적 요인인 폐교(廢校) 금지와 △결혼, 출산, 육아 지원에 총력을 다해야만 지방에 생명력을 불어 넣을 수 있다고 말했다. 
심교언 건국대 교수는 정 교수와 다소 다른 주장을 펼쳐 이목을 끌었다. 그는 “모든 지방을 다 살리는 것은 불가능하다. 지방 거점을 만들어 사라질 마을은 사라지게 하고 거점지방의 경제 기반이 살아남도록 해야 한다”며 서민을 보호하기 위한 선택과 집중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변창흠 세종대 교수는 “어느 지역이든 역사, 문화, 인적 네트워크가 있다. 아무리 작은 도시라도 살 의지가 있다면 살려야 되지 않나. 20년 내에 지방도시 3분의 1이 사라진다는 조사가 나왔지만 한 해에 읍면 단위로 내려가는 인구는 68만 명, 순수 귀농귀촌 인구도 51만 명이다. 돈의 관점보다 생명과 역사의 관점 등 다양한 시각으로 도시재생을 바라보아야 한다”는 대비된 의견을 내놓았다. 

도시재생 우수사례 발표와 종합토론 이어져

주민의 자발적 참여와 적극적 행정지원을 통한 도시재생 우수사례도 눈길을 끌었다.
특히 부산의 대표적인 달동네였던 감천문화마을은 2009년 추진된 도시재생사업 덕분에 지난 한 해 무려 205만 명의 관광객이 찾는 전국 명소가 된 내용이 발표되어 큰 박수를 받았다. 
행사 종료 시간을 훌쩍 넘기고 행사장을 가득 메웠던 참석자들이 한 명 두 명 집으로 돌아가는데도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성공적 안착을 위한 정책 실무자들의 종합적인 토론은 계속되었다. 현시대적인 가치와 철학을 도시재생에 어떻게 접목시킬 것인가를 두고 고민한 흔적은 그들이 제시한 다양한 방법들 안에 담겨 있었다.   
앞서 문재인 정부는 인구감소와 고령화 등으로 인한 지방소멸 해결책으로 지방 도시에 50조 원을 지원하는 도시재생 정책을 발표했다. 도시재생 뉴딜사업지로 작년 68곳, 올해 99곳이 선정된 가운데 이 사업이 과연 붕괴위기에 처한 지방을 살릴 수 있을 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전문성과 실용성을 겸비한 이번 포럼은 9시간의 열띤 토론 속에 막을 내렸다. 수도권 인구가 50%를 넘어선 현상황에서 지방소멸의 대응책을 모색하고 국토 균형발전에 촉매역할을 할 도시재생의 방향성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자리였다는 것이 참석자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송미아 기자 miasong@igoodnews.or.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