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전 파병 54주년, 그 의의와 과제
상태바
베트남전 파병 54주년, 그 의의와 과제
포커스 지난달 춘천에서 월남전참전기념탑 제막, 참전의 의미 되새겨
  • 주간기쁜소식
  • 승인 2018.03.30 22: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올해는 베트남전쟁 참전 54주년을 맞는 해이다. 오랜 세월이 지났지만 1964년부터 1973년 3월 23일 파병 활동을 종료하고 철수할 때까지 국가의 부름에 젊음을 바친 참전 용사들의 숭고한 희생은 기억되어야 할 유산이다.

총 32만 명 참전한 대한민국 최초의 해외 파병 

베트남전쟁 참전은 우리나라 최초의 해외 파병으로 한국은 베트남전에 미국 다음으로 가장 많은 병력을 파병했다. 1964년 1차 파병 이후 1965년 주월한국군 사령부가 창설되고 1973년 3월 23일 최종적으로 철수할 때까지 8년 8개월 동안 모두 32만 명이 넘는 한국군이 참전했다. 청룡·맹호·백마 부대 등 우리 군인들은 베트남에서 월맹군과 치열한 전쟁을 치렀으며, 누구보다 용맹한 기상으로 자유민주주의 수호와 국위 선양에 큰 공을 세웠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전원이 귀국하지는 못했다. 5천여 명의 장병이 전사했고 1만 1천여 명이 부상당했으며, 10만여 명의 고엽제 피해자가 발생하는 아픔도 있었다. 
베트남전 파병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다소 엇갈리고 있지만 우리 국군의 베트남 파병은 국방 및 안보분야 뿐만 아니라 정치, 경제적으로도 많은 국익을 가져다주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당시 국군의 베트남 파병으로 국내에 유입된 거액의 외화는 ‘한강의 기적’이라 불리는 경제발전의 토대가 되면서 세계 10대 경제 강국으로 부상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파병 출발지 춘천역에 세운 월남전참전기념탑 

베트남전 참전 용사들에게는 잊을 수 없는 장소가 있다. 바로 파병 출발지였던 춘천역이다. 파병 용사들의 첫 출발지이자 환송지였던 춘천에 월남전참전기념탑이 세워졌다. 지난 3월 22일 대한민국월남전참전자회 춘천시지회(지회장 문종관)는 춘천시 근화동 춘천대첩기념평화공원에서 월남전참전기념탑 준공식을 가졌다. 참전기념탑은 높이 7m 규모로 월남전에 참전해 국가에 헌신한 춘천시 월남전 참전유공자 1780여 명의 명예를 선양하기 위해 건립됐다. 
지난주 기자는 월남전참전기념탑이 세워진 춘천대첩기념평화공원을 찾았다. 기념탑에는 춘천 출신 참전 용사들의 이름과 당시 모습을 담은 사진 등이 걸려 있었다. 춘천역에서 출병하는 장병들과 환송 나온 시민들의 모습이 담긴 사진이 그 당시 상황을 짐작하게 해 주었다. 
월남전참전자회 춘천시지회 문종관(71) 지회장은 “화천 오음리에서 전투훈련을 받고 춘천역에 집결해서 부산으로 떠나던 날을 잊지 못한다. 어머니가 가면서 먹으라고 찐빵을 갖고 오셨다. 부산 3부두에 도착할 때까지 착잡한 마음에 다들 말이 없었다”고 회상했다. 이어 “월남전에서 희생된 전우를 잊지 않도록 참전기념탑 건립을 시작한 지 9년 만에 완성되어 기쁘다”며 춘천역 기념탑은 민주주의 수호를 위한 당시 파병 장병들의 용기와 헌신을 기리는 역사적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고엽제 후유증 등 아직 남아 있는 전쟁의 상흔(傷痕)

과거 전장에서 서로 총을 겨누었던 양국은 반세기가 흐른 지금, 어느덧 정치·경제·문화 등 전방위에 걸쳐 협력관계를 맺으며 괄목할만한 발전을 이루었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달 베트남 국가 주석 초청으로 베트남 순방(3.22~24)을 성공적으로 마치며 외교 지평을 넓히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전쟁의 아픔과 풀어내야 할 과제가 남아 있다. 전쟁 당시 미군이 밀림에 살포한 고엽제로 인해서 후유증을 앓고 있는 참전자들이 시간이 지나면서 드러났다. 베트남 종전 20년이 지난 후에야 고엽제 지원에 관한 법률이 통과되어 국가의 지원을 받고 있지만, 그 사이에 고엽제 후유증에 시달리다 사망한 참전 용사들과 남은 가족들은 제대로 된 보상을 받지 못했다. 그동안 관련 법률을 개정, 참전유공자에게 참전명예수당을 지급하고 고엽제 후유증 지원 수준을 확대하는 등 상당한 개선이 있었지만, 아직 이들의 헌신에 대해서는 정부의 관심이 미흡한 실정이다.
나라를 위해 희생한 군인에게 국가는 그에 걸맞는 예우와 대우를 해줘야 한다. 그래야 군인은 국가와 국민을 위해 목숨을 바칠 수 있는 것이다. 참전 용사와 그 가족들을 국가가 책임져 주고, 국민들 또한 그 희생정신을 기억하는 것은 당연한 의무라고 전문가들은 강조한다.
김인나 기자 innakim@igoodnews.or.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