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관광산업 초비상 극복 방안은 없을까?
상태바
한국 관광산업 초비상 극복 방안은 없을까?
핫이슈 중국, 사드 문제로 한국 단체관광 전면 금지 관광시장 다변화 해 중국 의존도 낮춰야
  • 주간기쁜소식
  • 승인 2017.03.17 13: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근 한국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배치 추진에 반발하는 중국의 경제 보복이 갈수록 노골화되면서 관광업계가 직격탄을 맞고 있다. 이에 새로운 관광시장 개척 등 지역 관광업계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응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유커(遊客) 발길 끊긴 제주, 관광업계 피해 속출

중국 소비자의 날인 지난 15일, 한반도 사드배치 보복조치로 중국의 한국 관광 금지령이 전면 시행되었다. 중국 여행사는 한국 상품 판매를 중단했고 이에 유커(중국인 단체 관광객)로 넘쳐나던 명동을 비롯해 전국 주요 관광지는 중국의 한국 관광상품 판매 전면 금지일이 시작되기도 전부터 중국인 관광객의 발길이 끊어지며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히 전체 관광객의 80%를 차지할 정도로 중국인 관광객이 많이 찾는 제주도는 지역경제가 뿌리째 흔들릴 정도로 그 피해가 상당하다. 제주도는 지난 2일부터 9일까지 30개 여행사 11만 7천 명이 제주도 관광을 전격 취소했다고 밝혔다. 지난 11일에는 국제 크루즈선을 타고 제주항에 도착한 중국인 승객 3400명 전원이 하선을 거부한 일도 발생했다. 
제주도에서 관광가이드 일을 하고 있는 박달성(47) 씨는 “중국인 관광객이 전보다 70~80% 정도 줄었으며 항공사, 관광가이드업, 호텔, 전세버스, 면세점 등 관광과 관련된 대부분의 업종에서 매출 타격을 받아 개점휴업을 하기도 한다. 과거 메르스 사태처럼 이번 사드 보복 조치가 관광업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말했다. 

과거 中 경제 보복에 일본·대만은 어떻게 대처 했나

중국은 한국뿐만 아니라 과거 일본이나 대만 등에도 이러한 경제 보복 조치를 취한 적이 있다. 그러나 일부 국가는 위기를 기회로 삼아 오히려 돌파구를 마련하기도 했다. 
2012년 9월 일본이 중국과 영토 분쟁을 벌였던 센카쿠 열도를 국유화하면서 중국의 반일감정이 극대화되었다. 중국 정부는 희토류 수출 및 일본 관광을 금지시켰고 일본 제품 불매 운동도 거세게 일어났다. 당시 일본은 동요하기보다 감정적 대응을 자제하면서 중국 경제 의존도를 줄이고 동남아시아로 수출 다변화 전략을 펴 나갔다. 또한 중국인 방문객들에 대한 비자 규제 완화, 다양한 콘텐츠 개발, 외국인 면세 절차를 줄이는 노력을 기울인 결과 오히려 중국 관광객이 증가했다. 
대만 또한 독립 성향의 민진당 차이잉원 총통이 당선된 이후 양국의 관계가 얼어붙으면서 중국이 대만 관광 제한을 조치했다. 중국 제재 이후 대만을 찾는 중국인 관광객은 30%씩 급감했다. 하지만 대만은 중국 단체 관광객 대신 자유 개별 여행 관광객 유치에 집중했고 체류기간도 15일에서 30일로 늘였다. 또 중국이 아닌 동남아·중동지역 등 다른 국가의 관광객을 공략하며 새 시장을 개척했다. 

동남아 관광객 공략 등 시장 다변화 조치 필요

중국과의 분쟁으로 경제 보복을 받은 일본과 대만의 사례를 통해 중국인 관광객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은 현 관광구조를 바꾸고 우리나라도 규제 완화 및 관광객 다변화 등으로 해결점을 찾아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경기대학교 관광경영학과 양정영(59) 교수는 “중국인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새로운 돌파구로 동남아 여행객이 주목받고 있다. 필리핀, 베트남, 태국은 물론이고 특히 세계 4번째 인구 대국인 인도네시아를 공략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관광시장 다변화뿐만 아니라 관광 상품의 질적인 개선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핀란드가 산타마을 하나로 전 세계의 관광객을 유치할 수 있었던 이유는 산타를 현실로 만들어 낸 스토리텔링의 힘이다. 이처럼 우리나라도 동남아 국가에 인기 있는 한류를 통해 이야기가 있는 한류 관광 상품을 개발해야 관광객의 요구를 맞출 수 있을 것이다”라고 조언했다. 
중국의 사드 보복이 관광뿐만 아니라 앞으로 압박수위를 단계적으로 강화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그 피해가 어디까지 이어질지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정부차원에서도 중국 측 사드 보복 조치의 부당성을 WTO 등 국제사회에 알리기 위한 노력을 강화하고, 미·일 등 우방 국가들과 협력해서 중국의 보복 조치를 조속히 잠재우는데 적극적인 역할을 해줘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강조한다.
김인나 기자 innakim@igoodnews.or.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